집중투표제·상법 개정·자사주 소각 ‘삼위일체’ 강조… 글로벌 기관투자자들도 한목소리
[정우성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최근 코스피가 3000선을 회복하면서, 장기적으로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기 위한 제도적 과제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불리는 한국 자본시장의 저평가 해소를 위한 열쇠로 ‘집중투표제’가 떠오른다. 23일 서울 여의도 TwoIFC에서 열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KCGF)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집중투표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한 필수 정책, 집중투표제’를 주제로 첫 발제에 나선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대표는 “코스피가 5년 내 5000포인트에 도달하려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현재 1.0배 수준에서 1.3~1.7배로 올라야 한다”며 “이사의 주주충실의무 도입만으로는 부족하고, 집중투표제를 통해 이사회가 전체 주주를 위해 ROE를 제고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행 상법상 집중투표제라는 제도는 있으나, 기업이 정관으로 도입을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어, 국내 상장사의 97%가 이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사의 집중투표제 의무화를 담은 상법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대표 이코노미톡뉴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집중투표제,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이 삼위일체로 해결돼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가능하다”라며 “그 경우 최소한의 ‘페어 밸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37년 전 외국 투자자들은 왜 회장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느냐고 물었다. 지금도 똑같다”라라고 꼬집었다.
이번 세미나에는 국제기업거버넌스네트워크(ICGN)의 젠 시손 대표, 스테파니 린 아시아기업거버넌스협회(ACGA) 한국 리서치헤드 등 글로벌 전문가도 참석했다. 이들 기관은 국민연금, 노르웨이 국부펀드 등 세계 주요 연기금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스테파니 린 리서치헤드는 “한국은 주주행동주의,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등 성과가 있었지만 이사회 책임성과 소수주주 보호에선 여전히 미흡하다”며 “집중투표제는 소수주주가 지배주주의 참호 구축에 대응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젠 시손 대표 역시 “집중투표제는 주주권 보호를 넘어 장기적인 거버넌스 개혁의 핵심”이라며 “ICGN은 한국의 거버넌스 개선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국내 전문가들도 집중투표제 도입의 실효성을 강조했다. 최준철 VIP자산운용 대표는 “49%의 지분을 보유하고도 이사를 단 한 명도 선임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집중투표제는 제왕적 이사회를 견제할 첫 단추”라고 지적했다.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공동대표는 “기업 투명성 강화와 독립적 이사회 구성의 핵심 수단”이라며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제도 성숙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하 전문은 저작권 관리 정책에 의해 아래 원문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현장] “코스피 5000 시대 여는 열쇠는 집중투표제”
집중투표제·상법 개정·자사주 소각 ‘삼위일체’ 강조… 글로벌 기관투자자들도 한목소리
[정우성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최근 코스피가 3000선을 회복하면서, 장기적으로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기 위한 제도적 과제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불리는 한국 자본시장의 저평가 해소를 위한 열쇠로 ‘집중투표제’가 떠오른다. 23일 서울 여의도 TwoIFC에서 열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KCGF)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로 집중투표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한 필수 정책, 집중투표제’를 주제로 첫 발제에 나선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대표는 “코스피가 5년 내 5000포인트에 도달하려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현재 1.0배 수준에서 1.3~1.7배로 올라야 한다”며 “이사의 주주충실의무 도입만으로는 부족하고, 집중투표제를 통해 이사회가 전체 주주를 위해 ROE를 제고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행 상법상 집중투표제라는 제도는 있으나, 기업이 정관으로 도입을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어, 국내 상장사의 97%가 이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사의 집중투표제 의무화를 담은 상법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대표 이코노미톡뉴스]
이남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집중투표제,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이 삼위일체로 해결돼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가능하다”라며 “그 경우 최소한의 ‘페어 밸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37년 전 외국 투자자들은 왜 회장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느냐고 물었다. 지금도 똑같다”라라고 꼬집었다.
이번 세미나에는 국제기업거버넌스네트워크(ICGN)의 젠 시손 대표, 스테파니 린 아시아기업거버넌스협회(ACGA) 한국 리서치헤드 등 글로벌 전문가도 참석했다. 이들 기관은 국민연금, 노르웨이 국부펀드 등 세계 주요 연기금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스테파니 린 리서치헤드는 “한국은 주주행동주의,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등 성과가 있었지만 이사회 책임성과 소수주주 보호에선 여전히 미흡하다”며 “집중투표제는 소수주주가 지배주주의 참호 구축에 대응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젠 시손 대표 역시 “집중투표제는 주주권 보호를 넘어 장기적인 거버넌스 개혁의 핵심”이라며 “ICGN은 한국의 거버넌스 개선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국내 전문가들도 집중투표제 도입의 실효성을 강조했다. 최준철 VIP자산운용 대표는 “49%의 지분을 보유하고도 이사를 단 한 명도 선임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집중투표제는 제왕적 이사회를 견제할 첫 단추”라고 지적했다. 오승재 서스틴베스트 공동대표는 “기업 투명성 강화와 독립적 이사회 구성의 핵심 수단”이라며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제도 성숙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하 전문은 저작권 관리 정책에 의해 아래 원문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현장] “코스피 5000 시대 여는 열쇠는 집중투표제”